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21

CBAM 전후 글로벌 수출입 기준 변화 EU가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 중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는 전통적인 수출입 규제 체계를 넘어선 새로운 형태의 무역 환경 규범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단순한 환경정책을 넘어, 글로벌 무역질서에 구조적 영향을 주는 ‘비관세장벽’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2025년 현재 CBAM은 본격적인 과세 시행(2026년)을 앞두고 있으며, 수출기업과 무역당국, 인증기관 모두에게 새로운 대응 체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BAM 도입 전후의 글로벌 수출입 기준 변화를 중심으로, 보고·인증 요건, 대상 품목 확대, 제3국 수출 대응 전략 등을 분석합니다.1. CBAM 도입 전: 탄소정보 비의무화와 자율규제 중심CBAM.. 2025. 6. 22.
WTO 환경보조금 기준 진화 양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각국의 산업 보조금 정책이 확대되면서, 세계무역기구(WTO)의 환경보조금 규범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EU의 탄소중립 산업법(NZIA), 중국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등은 모두 일정한 환경적 목적을 갖지만, 동시에 글로벌 통상 질서와 충돌할 수 있는 여지를 내포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WTO 보조금 협정(ASCM)의 환경보조금 기준을 중심으로, 2025년까지의 국제 논의 흐름과 주요 국가 사례, 그리고 규범 진화 방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1. WTO 보조금 규범과 환경보조금의 기본 구조WTO의 보조금 규범은 보조금 및 상계조치에 관한 협정(ASCM)에 근거하며, 보조금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금지 보조금: 수출성과 조건부 .. 2025. 6. 22.
미국 IRA 전후 탄소보조금 제도 변화 미국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은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의 제정과 함께 구조적 전환을 맞이했습니다. IRA 이전에는 개별 산업 중심의 한시적 보조금이나 규제 완화가 중심이었으나, IRA 이후에는 장기적·체계적 세제 인센티브 중심의 탄소감축 보조금 체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로써 미국은 글로벌 탈탄소 경쟁에서 국가 차원의 산업 전략을 본격화한 셈입니다.본 글에서는 IRA 제정 전후의 미국 탄소보조금 제도의 구조, 적용 방식, 산업별 적용 변화를 비교하며,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과 무역 파트너에 미치는 정책적 함의를 분석합니다.1. IRA 이전: 제한적이고 단기적인 탄소보조금 체계IRA 이전 미국 연방정부의 기후 관련 재정 지원은 대부분 에너지부(DOE.. 2025. 6. 22.
한국 탄소중립 정책 2020 vs 2025 비교 분석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전략 수립을 위한 탄소중립 정책은 대한민국 정부의 핵심 중장기 과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20년 문재인 정부가 2050 탄소중립을 공식 선언한 이후, 다양한 정책 수단과 법제화 작업이 이루어졌고, 2022년 정권 교체를 거쳐 2025년 현재에는 새로운 접근 방식과 이행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습니다.본 글에서는 2020년 탄소중립 정책의 골격과 배경, 그리고 2025년 최신 정부 기조의 차이점 및 산업·수출기업·공공기관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을 분석합니다.1. 2020년 탄소중립 정책: 선언 중심의 총체적 접근2020년 10월, 대한민국 정부는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 ‘2050 탄소중립 선언’을 공식화하며, 기후변화 대응의 국가전략적 전환을 선언했습니다. 이어 같은 해 12월,.. 2025. 6. 22.
배출권거래제(ETS) 제도와 수출영향 2025년 현재, 전 세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수단 중 하나로 ‘배출권거래제(ETS: Emissions Trading System)’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ETS는 일정 기간 내 기업이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총량을 설정하고, 그 배출권을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로, 유럽을 비롯해 한국, 중국 등 주요 경제권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특히 ETS는 국내 탄소배출 규제의 틀을 넘어서, EU의 CBAM(탄소국경조정제도)와 연결되며 수출기업의 비용구조와 통상 경쟁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ETS 제도의 개요, 주요국 비교,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1. ETS 제도의 개요와 운영 구조ETS는 정부가 기업별로 일정량의 온실가스 배출.. 2025. 6. 21.
ISO14067, LCA 인증체계 완전 해부 2025년 현재,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글로벌 규제가 강화되면서, 제품 단위의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고 인증하는 제도에 대한 중요성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ISO 14067과 LCA(전 과정 평가)는 기업의 탄소정보 보고, 환경표지제도, 조달 입찰, 수출 통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국제 무역에서의 비관세 장벽 대응 전략으로도 필수입니다.본 글에서는 ISO 14067과 LCA의 기본 개념, 구조, 산정 방식, 인증 절차, 최신 활용 동향을 종합 정리하여, 실무자와 기관 관계자 모두가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1. ISO 14067: 탄소발자국 국제표준ISO 14067:2018은 제품 및 서비스의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o.. 2025. 6. 21.